신규 블로그를 만들었습니다!
HTML에는 리스트를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이 크게 2가지가 있다.
하나는 ol, ul을 사용하는 방법, 두번째는 dl, dt를 사용하는 방법이다.
무엇을 사용할지는 개발자 마음이다. 다만 추천하는 방법은 ol이나 ul이다.
ol, ul
이 방법은 흔히 아는 방법이라 다들 많이 사용한다. ol은 순서를 표시해주고, ul은 순서를 표시해주지 않는다.
예를들어,
<!DOCTYPE html>
<html lang="en">
<head>
<meta charset="utf-8" />
<title>리스트</title>
</head>
<body>
<h3>메뉴 리스트</h3>
<ul>
<li>menu1</li>
<li>menu2</li>
<li>menu3</li>
<li>menu4</li>
<li>menu5</li>
</ul>
<h3>지역 리스트</h3>
<ol>
<li>서울</li>
<li>경기</li>
<li>충청</li>
<li>전라</li>
<li>경상</li>
<li>강원</li>
</ol>
<h3>사이트 리스트</h3>
<ol>
<li><a href="https://hongku.tistory.com" target="_blank">블로그</a> blank를 이용하면 새로운 탭에서 창이 열린다.</li>
<li><a href="https://www.google.com" target="_self">Google</a> self를 이용하면 바로 그 화면에서 창이 열린다.</li>
<li><a href="https://www.naver.com">Naver</a></li>
</ol>
</body>
</html>
위와 같이 ul을 사용하면, 동그란 모양의 기호로 리스트가 나열된다. 반면, ol를 사용하면 1번부터 차례대로 숫자형태로 리스트가 나열된다.
그리고 꽤 유용한 속성이 있는데, target 속성이다.
target이라는 속성에 _blank를 넣으면 새로운 탭으로 사이트가 열리고, _self라는 값을 넣으면 현재 화면에서 사이트가 열린다.(기본값은 _self)
예제 확인
https://taehongdev.github.io/html_css_study/exam03/exam03_01.html
3장 예제1
taehongdev.github.io
dl, dt
dl과 dt를 이용하여 표현하는 방법이 있다. 이 방법은 잘 사용하지 않는 방법이다.
<!DOCTYPE html>
<html lang="ko">
<head>
<meta charset="utf-8" />
<title>3장 예제2</title>
</head>
<body>
<dl>
<dt>메뉴 리스트</dt>
<dd>메뉴1</dd>
<dd>메뉴2</dd>
<dd>메뉴3</dd>
<dd>메뉴4</dd>
<dd>메뉴5</dd>
<dt>지역 리스트</dt>
<dd>경기</dd>
<dd>서울</dd>
<dd>충청</dd>
<dd>경상</dd>
<dd>제주</dd>
</dl>
</body>
</html>
dl안에 dt와 dd를 사용한다. dt는 타이틀(Title)의 역할을 하고 dd는 그 안의 항목 역할을 한다.
위와 같이 표현이 가능하다.
예제 확인
https://taehongdev.github.io/html_css_study/exam03/exam03_02.html
3장 예제2
taehongdev.github.io
다른 글
2018/10/19 - [WEB/HTML&CSS] - CSS :: 버튼(Button) 예쁘게 꾸미기, 여러개의 버튼 그룹화 하기
CSS :: 버튼(Button) 예쁘게 꾸미기, 여러개의 버튼 그룹화 하기
CSS 버튼 예쁘게 만들기 WEB 개발을 하다보면 버튼은 자주 사용하게 됩니다. 이건 제가 자주 사용하는 방법인데, 버튼을 좀 더 예쁘게(?) 표현할때 많이 사용합니다. 결과물부터 확인해보면 아래 사진과 같습니다...
hongku.tistory.com
2018/07/11 - [WEB/JS&jQuery] - jQuery :: 제이쿼리를 이용하여 비밀번호 값 비교하기 (키보드 눌렀을때 비교)
jQuery :: 제이쿼리를 이용하여 비밀번호 값 비교하기 (키보드 눌렀을때 비교)
비밀번호 값 비교하기 회원가입을 할때, 비밀번호를 잘못치는경우가 있을 수 있다. 그래서 보통 비밀번호를 2번 입력하여 그 값이 일치하는지 확인한다. jQuery(제이쿼리)를 이용해서
태그의 비밀번호 값 2..
hongku.tistory.com
'WEB > HTML&CS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SS의 기본정리. 반드시 알아야하는 CSS 내용 (0) | 2019.03.19 |
---|---|
HTML 오디오 태그 (Audio, iframe) 음악 자동재생 (3) | 2019.03.18 |
HTML에서 이미지 가져오기 (img 태그) (1) | 2019.03.17 |
HTML 테이블 사용방법 (table) (0) | 2019.03.16 |
CSS :: 버튼(Button) 예쁘게 꾸미기, 여러개의 버튼 그룹화 하기 (28) | 2018.10.19 |
최근댓글